본문 바로가기

토마의 관심사/유용한 정보

지진이 발생했을때 대피요령

우리집은 서울 광진구 자양동이다.

집에서 컴퓨터를 하고 있었는데 아주 가볍게 3~5초간 집이 흔들렸다.

겁이 덜컥... 하지만, 피해야한다거나 어떻게 대피해야 하는지 아무런 생각도 나지 않았다.

만약 조금더 강력하게 조금더 오래 집이 흔들린다면 창문이 깨지기도 하고, 벽에 걸린 물건들이

떨어질텐데.. 아직까지 지진으로 부터는 안전하다고 생각되는지 지진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것 같다.

그래서 부랴부랴 검색을 해봤다. 어떻게 대피해야하는지...퍼온글을 올려본다.


지진시 대피요령


특히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쭈그리고 앉아 무릎 사이에 머리를 묻고, 양손과 팔로 감싸는 자세를 취해야 한다
건물을 빠져 나올 때에는 엘리베이터는 사용하지 않고 층계를 이용하도록 한다.
출구나 대피소를 살펴두며, 현관문을 열어 놓아야 한다.
천장이나 위에서 물체가 떨어지므로 유리나 깨어지기 쉬운 물건은 아래로 내려놓아야 한다.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행동한다.
지진이 길어야 1분이내에 종료되며 강한진동이 계속되는 시간은 15초를 넘지 않으므로 멀리 피하려 하지 말고 있던 장소에서 안전한 위치를 찾는다.
책임있는 사람의 지시에 따라 행동한다.
인화성 물건인 성냥, 라이터, 가스렌지, 석유난로, 석유곤로등은 사용하지 않는다.
평소 지진의 특성을 숙지하고, 지진발생시 침착하게 대처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비상 우선통화를 위하여 전화는 가급적 사용을 자제한다.
지진 직후 자신이 무사하다면 먼저 도피하려 하지 말고 주변의 다친사람이나 응급상황을 해결하려 해야하며, 여진은 이러한 일을 할 수 있을 만큼 시간적 간격을 두고 온다는 것도 알아둘 필요가 있다.


■ 건물 내

지진을 느끼면 중심이 낮고 견고한 테이블 등으로 들어가 다리를 꽉 잡고 몸을 피하고 테이블 등이 없을 때에는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해야 하며, 즉시 전열기 코드나 불을 끕시다. 불이나면 재빨리 초기소화를 하는 것이 큰 화재를 막는 중요한 조치입니다.
서둘러서 밖으로 뛰어나가면 유리창이나 기와, 간판 등이 떨어지므로 대단히 위험합니다. 따라서 먼저 안전을 확인하고 대피합시다.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아파트 등은 지진에 의한 진동으로 문이 비틀려서 안 열리게 되어 방안에 갇힐 우려가 있으므로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해야 합니다.


■ 집 밖에 있을 때

블록담이나 대문, 기둥 등은 무너지기 쉽기 때문에 가까이 가지말고, 번화가나 빌딩가에서 가장 위험한 것은 간판 등의 낙하물이므로 손에 들고 가방 등으로 머리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빌딩가 등에 있을 때에는 상황에 따라서 건물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오히려 안전합니다.


■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을 때

지진발생시에는 엘리베이터를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을 때 지진을 느끼면 버튼을 눌러 엘리베이터가 정지하면 신속하게 대피합시다.


■ 전철을 타고 있을 때

큰 충격이 오므로 화물선반의 횡축이나 손잡이 등을 꽉 잡아 넘어지지 않도록 합시다.
그 후 차내방송 등에 따라서 침착하게 행동합시다. 섣부른 행동으로 제멋대로 행동하면 큰 혼란을 일으키게 됩니다.
정지했다고 해서 서둘러 밖으로 나가면 다칠 위험이 있습니다.


■ 자동차를 운전하고 있을 때

길의 오른쪽에 정차시키고 통제구역에서는 운전을 금합니다.
대피하는 사람들이나 긴급자동차가 통행할 수 있도록 길 중앙부분을 비워둡시다.


■ 산이나 바다에 있을 때

산 근처나 급한 경사지에서는 산사태나 절개지 붕괴위험이 있으므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해안에서는 해일이 발생할 우려가 있습니다. 해일 특보가 발령되면 시군구의 안내방송이나 라디오 및 텔레비전의 정보를 시청해서 신속히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